우리나라 지도를 직접 보고 색칠하고 써보는 활동을 하면 더 오래 기억 할 수 있어요. 북한, 남한, 38선에 대한 이야기를 이삭이랑 벌써 할 수 있다는 점이 신기하게 느껴졌어요. 꼬마사회뒤집기 울퉁별의...
도서 정보 검색 | 최신 도서 리뷰
권위주의는 어떻게 국가를 망치는가 (열 나라를 사례로 보는 그 정치 폐해와 사회갈등)
저자: 이효선출판사: 지식공감
발행: 2022-07-01
ISBN: 9791156227151
판매가: 13,500원
판매처: 바로가기
책 소개
『권위주의는 어떻게 국가를 망치는가?』에는 과거와 현재의 독재국가와 권위주의 국가에서는 언제, 무슨 일이, 누구에 의해서, 무슨 이유 때문에, 어떻게 일어났고 또 일어나고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줌으로써 권위주의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준다. 권위주의는 당초에 권력, 부, 지위와 같은 희소가치를 1인 또는 소수 집단이 독점함으로써 생성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기득권을 유지하기위한 체제이다. 또한 권위주의 집단이나 정권하에서 만들어 지는 갈등의 양상에는 전쟁과 인종말살정책으로부터 정권 찬탈이나 식민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권위주의는 어떻게 국가를 망치는가?』라는 책에서는 한 나라 안에서 볼 수 있는 온갖 권위주의적 행태는 물론 국가 간에 벌어지는 전쟁과 식민지화를 통해서 권위주의를 분석하고 있다. 최근 2년 동안에 세계정세는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사건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이지만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역시 녹록치 않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국가 간의 갈등국면이 전개되면서 국제질서는 자연스럽게 재편되고 있는데 그 중심에 부각된 문제가 바로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자유민주주의국가 대 권위주의국가로 나뉘어서 서로 경쟁하고 견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대결국면에서 한국은 자유민주주의 편에 서 있으며 앞으로도 결코 이 입장에서 후퇴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책은 권위주의와 권위주의 국가가 어떤 정치 폐해와 갈등을 야기 시키고 있는 바를 단순히 ‘나쁘다’라는 추론의 수준이 아니라 열 나라의 사례를 들어서 역사적으로, 실증적으로 그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한국은 북한, 중국, 러시아라는 권위주의국가들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고 할지라도 상호존중의 입장을 벗어나서 지나치게 권위주의에 친화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경도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 한국은 이제 ‘전략적 모호성’이라는 꼬리표를 과감히 떼어버리고 가치 중심의, 또는 가치에 기반한 외교를 폍치는 쪽으로 나아가기를 이 책은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한국은 현재의 자유민주주의 수준을 넘어서 한 단계 높은 열린사회와 품격이 높은 국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치와 교육 분야의 변화, 그 중에서도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이 책은 역설하고 있다.
책 리뷰
도서 리뷰 블로그
지난 몇 년간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부르주아 정치와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요 자본주의-제국주의 국가의 선거 결과가 노동계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의 대선...
통제 국가 파산, 사회 혼란, 국민 탈출 → 제도는 유지됐지만 나라는 무너짐 ✅ 결론 – 포퓰리즘이 민주주의와 경제를 동시에 파괴한 사례 베네수엘라는 포퓰리즘이 극단화되면 어떻게 되는지를 보여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