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정보 검색
책 소개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의 둘째 권이다. 최양업 신부가 조선에 입국하여 12년 동안 한강 이남 전체의 127개 공소를 매해 순회하며 홀로 사목하다 길 위에서 쓰러진 마지막 9개월의 이야기를 담았다.책 리뷰
책 리뷰 블로그
<동방박사의 여행견문록 Blog 2010> (2023년 8월 26일)
차쿠의 아침 (2023) - 마지막 이야기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 (2023) - 마지막 이야기 소설 최양업
책소개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의 둘째 권이다. 최양업 신부가 조선에 입국하여 12년 동안 한강 이남 전체의 127개 공소를 매해 순회하며 홀로 사목하다 길 위에서 쓰러진 마지막 9개월의 이야기를 담았다....
오늘도 작은 쉼표 하나 찍고, (2025년 1월 23일)
차쿠의 아침 마지막 이야기
차쿠의 아침 마지막 이야기
차쿠의 아침 마지막 이야기 저자: 이태종 출판: 바오로딸 발행: 2023.06.05. 한국인 두번 째 사제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님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의 둘째 권 최양업 신부가 조선에 입국하여 12년...
문학 힐링 (2024년 2월 4일)
차쿠의 아침 소설 최양업-책 구입 보관
차쿠의 아침 소설 최양업-책 구입 보관
책 정보 책 정보 카테고리 한국소설 쪽수/무게/크기 487쪽532g140*197*23mm ISBN 9788933111772 책 소개 [차쿠의 아침]은 최양업 신부님이 주인공인 소설로1845년 7월 차쿠에서 사제수품을 앞둔 김대건 신부님과의 마지막...
바오로딸 (2014년 8월 28일)
<차쿠의아침 - 소설 최양업> 저자 간담회
<차쿠의아침 - 소설 최양업> 저자 간담회
우리들 이야기 <차쿠의아침 - 소설 최양업> 저자 간담회 by 바오로딸 2014. 8. 28. <차쿠의 아침-소설 최양업> 저자 간담회 어제 8월 27일(수) 오후 2시, 명동 가톨릭회관 바오로딸 서원에서 <차쿠의 아침-소설...
저절로2 (2024년 10월 21일)
차쿠의 아침 마지막 이야기
차쿠의 아침 마지막 이야기
차쿠의 아침이란 제목은 최양업 신부가 사제품을 받고 얼어붙은 압록강을 무사 도강하기 위해 썼던 암호이자, 문경에서 마지막 죽음의 강을 건너가기 위해서도 일행이 쓰는 암호였다. 죽음의 강 너머에서 친구...
느낌짱 (2023년 7월 25일)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 마지막 이야기/이태종 지음/바오로딸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 마지막 이야기/이태종 지음/바오로딸
<간월재에서> 영남 알프스 간월산, 문경, 보은, 진천, 배티, 배론 … 낮익은 지형, 지명과 과거에 가보았던 곳이기에 읽는 동안 그 곳의 지형을 생각하며 이야기속에 동화되어 읽고 있었다. 그 중 유독 기억속에 한...
온새미로 (2023년 9월 21일)
(서평/261) [차쿠의 아침, 마지막 이야기] - 매일 해왔던 일을...
(서평/261) [차쿠의 아침, 마지막 이야기] - 매일 해왔던 일을...
《차쿠의 아침》이 1845년 7월 차쿠에서 사제수품을 앞둔 김대건 신부님과의 마지막 만남에서부터 1849년... #천주교 #신앙서적 #차쿠의아침 #차쿠의아침마지막이야기 #소설최양업 #바오로딸 #최양업신부님...
소소한 이야기 (2023년 10월 6일)
김대건 최양업 신부 이야기 '차쿠의 아침'
김대건 최양업 신부 이야기 '차쿠의 아침'
신부 최양업(1821.3.1~1861.6.15) 두 사제의 지극한 우정과 신을 향한 사랑 이야기가 담긴 '차쿠의 아침... 얼마 전에 읽은 일본 엔도 슈샤크의 소설 '침묵'은 서양의 신부들이 일본에 밀입국하여 천주교를 전파하는...
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2024년 1월 16일)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 이태종 지음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 이태종 지음
한국 천주교 사제가 집필한 두 번째 종교소설 '차쿠의 아침'은 '최양업 신부님'애 대한 이야기를 소설로... 이 소설은 1845년 7월 차쿠에서 사제서품 전 김대건 신부님과 최양업의 마지막 만남에서 시작하여...
이진귀의 길따라 생각따라 여행 (2018년 2월 27일)
[스크랩]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
[스크랩] 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
소설"소설 최양업 차쿠의 아침"을 읽었습니다. 이 소설은 한국인 신부가 쓴 소설로는 윤의병 신부의... 채 최양업 신부 홀로 조선 교우들과 함께 변문을 통해 입국하게 되는 그 순간의 기쁨을 소설은 마지막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