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은 공시성(Synchronicity)을 '둘 혹은 그 이상의 사건의 의미 있는 동시 발생'이라고 정의하면서, '그... 공시성 개념은 종종 스토리텔링과 예술, 신화와도 밀접하게 연결되며, 이런 측면에서 공시성은 인간 존재가...
도서 정보 검색 | 최신 도서 리뷰
책 소개
K-포엣 시리즈 38권으로 출간된 이종민의 시집 『동시존재』의 영문판. 『동시존재』에 수록된 작품 중 20편을 엄선하여 번역가 레비 리가 번역하였다.책 리뷰
도서 리뷰 블로그
미래의 사건들은 분명히 동시적이지 않고 공시적이다. 이유는 그 사건들이 마치 객관적인 사건이 이미 존재하는 것처럼, '현재 속'의 정신적 이미지들로 경험되기 때문이다. 어떤 객관적인 외적 사건과 직...
Meta-physics (형이상학)은 모든 것을 에너지로 설명하고 그 중 공시성/동시성(Synchronicity)은 절대의식의... 그 이유는 끝없이 흐르는 시간이 '영원'이 아니라 영원히 지금 이순간만이 존재하는 것이 '무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