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학의 논리 (창비신서44) - 최원식 평론집 창작과비평사 1982년 민족문학의 논리 (창비신서44) - 최원식 평론집 창작과비평사 1982년은 1982년 출간된 최원식의 평론집입니다. 이 책은 1970년대와 1980년대 한국...
도서 정보 검색 | 최신 도서 리뷰
책 소개
“문학성의 극진한 드러남이 최고의 정치성 그 자체로 되는 그런 문학이야말로다른 평화 또는 다른 세상을 여는 운하가 될지도 모릅니다.”
다른 세상을 여는 우리 문학과 진보의 새길을 찾아서
비평이력 46년, 여전히 뜨거운 쟁점과 예리한 통찰을 던진다!
평생을 한국문학과 발맞춰온 최원식 평론가의 새 평론집 『문학과 진보』가 출간되었다. 저자는 1972년 평론을 시작해 민중문학과 동아시아 담론을 꾸준히 연구하며 오랜 시간 계간 『창작과비평』의 편집위원과 주간으로, 최근까지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으로 일했다.
한국문학의 현장에서 비평의 한 축을 이끌어온 그는 또 대학의 교단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일에도 열정을 쏟았다.
『문학과 진보』는 2001년 출간된 평론집 『문학의 귀환』 이후 2003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한 글을 모은 것으로, 이 책에는 1990년대를 통과한 한국문학의 얼굴과, 새로운 2000년대를 맞은 변화의 현장이 생생하다.
저자는 “읽을 것은 많고 시간은 많지 않다”며 『문학과 진보』를 마지막 평론집으로 내놓는다. “그동안 나의 허튼소리를 허용해준 모든 문인들께 최고의 경의”(책머리에)를 보낸다는 저자의 겸손과는 달리 오히려 그에게 한국문단이 진 빚이 적지 않다.
새 시대, 새로운 문학을 기다리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한국과 한국문학의 과거가 담긴 소중한 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그리고 그 기록에는 분명 다가올 미래를 예감하는 수많은 통찰이 스며 있다. 진보와 동아시아, 세계를 외면하지 않는 문학에 대한 이 책은 인문서로 역사서로 그리고 문학서로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한 시대가 저물고 있다는 더 깊은 실감 속에 민족문학 없는 진보의 틈을 궁리한 앨쓴 길찾기가 여기 모은 글들의 면목일 것이다. 혹 적은 참고라도 된다면 더할 나위 없는 일이다. 마침 세상이 변했다. 한반도와 동아시아가 함께 부윰하다.
우리 앞에 놓인, 누구도 가지 않은 길 위에서 우리 문학은 또 어떤 몸을 지어갈지 벌써 궁금하다. 우리 문학의 한소식을 고대한다. ―‘책머리에’에서
책 리뷰
도서 리뷰 블로그
문학과 진보 / 최원식 평론집 / 창비 출판사 제 3부 시와 정치 자력 갱생의 시학 1. 독자의 위기 문학의 위기론이 유행처럼 번질 때도 시는 그다지 큰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문학의 위기는 영상언어와 힘겨운...
잃어버린 배뱅이굿 ㅣ 최원식 ㅣ 25,000원 우리 근대문학사를 살피기 위한 배뱅이굿 연구서 정본... 옹호』 『문학과 진보』, 연구서 『한국 근대소설사론』 『한국 근대문학을 찾아서』 『한국계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