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akguk from bronze to iron 책 소개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엮음 · 340쪽 · 22,000원 최근 고고학적 성과를... 이번 제28회 국제학술회의 주제는 「가락국, 청동기에서 철기로」다. 가락국은 철기문화를 가진...
도서 정보 검색 | 최신 도서 리뷰
가락국, 청동기에서 철기로
저자: 소배경, 이수홍, 이동희, 윤태영, 이성주출판사: 주류성
발행: 2023-11-28
ISBN: 9788962465143
판매가: 19,800원
판매처: 바로가기
책 소개
최근 고고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가락국 건국 무렵을 재조명지난 4반세기 동안 가야사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으로 가야사 국제학술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김해시의 노력은 남다르다. 이 학술회의를 주관하는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는 이러한 의지와 전통을 충분히 자각하여 보다 나은 학술회의의 개최와 학술회의의 결과를 적극적으로 전파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동안 가야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삼국시대 역사에서 소외되어 그 중요성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는 최근 고고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가락국 건국 무렵을 재조명하는 자리다. 향후 가야사 연구는 문헌사와 고고학적 자료가 접합되어 융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가야의 형성과정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전되었다.
이번 제28회 국제학술회의 주제는 「가락국, 청동기에서 철기로」다. 가락국은 철기문화를 가진 김수로왕에 의해 건국되었지만, 김수로왕을 추대한 구간(九干)은 청동기문화를 가진 토착의 지석묘 축조 세력이다. 구간 세력과 김수로왕 세력은 각기 지석묘와 목관묘 문화로 대표된다. 김해지역에는 지석묘 및 목관묘와 관련하여 많은 조사·연구 성과가 있다. 이번 학술대회는 이러한 고고학적 성과에 근거하여 가락국 성립기를 살펴본다.
책 리뷰
도서 리뷰 블로그
신석기, 청동기 시대를 거쳐 환경의 변화와 이에 맞선 인류의 적응력부터 시작해 철기 기술 중심... 김해 국립박물관과 같이 들리기 좋은 대성동 고분군(유네스코 세계유산), 수로왕릉(가락국 시조왕릉)에서도...
고녕(함창)에 터전을 잡게 된 사연을 찾아서 02 고문헌, 가락국기를 읽으면서 1. 먼저 가락국기부터... 청동기, 철기 시대 한반도에선 몇 명이 살았을까? 12. 정략혼으로 틈새를 파고들어 조공 무역과 군사...
청동기시대 농경은 더욱 발달하였다. 경남 진주 대평리유적에서는 상당한 규모의 마을유적과 당시...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는 금관가야(가락국) 중심의 건국신화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인용된...
전기 고분 문화는 대체로 미생(彌生) 문화(청동기 및 초기 철기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이나... 특히 의 공백을 메꾸고 의 역사적 재조명을 위하여 중요한 일이다. ... 따라서 일본에...
청동기 문화나 철기문화를 배경으로 한 고구려, 신라, 가야의 신화에서 곰 토템 숭배는 보이지 않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우리 나라 상고시대에는 곰 이외에 관련된 말, 사슴 토템에 대한 숭배사상이...
구지봉을 오르다 구지봉 구지봉은 철기문화의 수로왕이 등장하기 이전부터 고인돌을 중심으로 청동기...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따르면 수로왕이 서기 42년 구지봉에 내려왔다고 하는데, 구지봉이란 이름은 산...
청동기시대 막바지에 이르러 옛 가야 지역 곳곳에 나타난 덧띠토기문화와 더불어 새롭게 확산된 철기문화는 사회변동을 재촉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문화는 이전부터 뿌리내린 지역문화를 완전히...
수로신화를 살펴보면 수로가 가락국을 세우기 이전 해당지역은 9개의 집단취락을 이루고 살았는데 각... 청동기 무기와 철기 무기는 처음부터 상대가 되지 않고 철제 농기구는 농업생산력의 비약적인 발전을...
― 김서현 장군은 가락국(駕洛國) 시조 김수로왕의 후예이다. 시조 수로왕이 서기 42(후한 건무18년)에 가락국을 세우고, 10대 구형왕(仇衡王) 12년, 곧 신라 법흥왕 19년(532)에 이르러, 왕비 계화(桂花) 및 세 왕자...